Daum - 부동산

토론
0/600 bytes
  • 정부를 믿지마세요.
    싸랑해
    15.08.10 11:57 댓글 | 신고
  • 진작에 시행했어야 했다. 놔둔다면 더 큰 손실을 가져올터 지금부터라도 대출을 더 엄격히하고 원금상환능력을 중점 점검하고 원금 회수에 만전을 기해야 할것이다.
    니반쪽
    15.08.10 09:20 댓글 | 신고
  • 투표했는데 투표 한쪽 숫자가 변함이 없네요..ㅋㅋ
    kang
    15.08.10 08:01 댓글 | 신고
  • 건설위한 사이트?
    동반자
    15.08.24 01:47 댓글 | 신고
  • 털 사람은 다 털고 나갔으니 정책을 바꿨겠지
    아자뽕
    15.08.10 01:46 댓글 | 신고
  • 세상에 공짜는 없는법.
    아마츠카 메구미
    15.08.09 15:54 댓글 | 신고
  • 한심하다!
    사람의향기
    15.08.08 11:55 댓글 | 신고
  • "싸게 이사하는 방법!! 이사어플 이사모아로 600여곳 이사업체 가격비교하기!"
    닭고기수프
    15.08.07 15:34 댓글 | 신고
  • 은행 저금리가 게속되고, 정부에서도 경기회복을 위해 추가예산을 풀고있다.지금 역세권 중.소형아파트 투자할 적기이다.인구감소는 통계적으로 2030년도부터 감소한다니 15년후에나 걱정하고,미국금리인상은 올연말 0.1%올려 기준금리가 0.35%된다니 우리나라 미치는 영향이 거의없다.일본경제 닮아간다고? 아베노믹스는 성공하고 있어 우리가 배워야 한다.8년전에도 다음에 폭락론 주장하는 댓글 믿다가 큰 손해를 봤다.급매물 소진되고 전세불안자들 매매로 전환되면후회한다.여기 폭락론자분들 후회하지 말고 이제 내집마련 하시길
    rnjswjdrn4512
    15.08.06 09:00 댓글 | 신고
  • 정부일이 어느날 갑자기 청개구리식으로 어디로 뛸지 모르는 정책을 내놓고...우왕좌왕..하루 이틀도 아니고...양도소득세 바뀐 세법도 책으로 한권쯤 설명서가 있고 전문가가 설명해야 알아들을수도 ??? 있고 없고. 이양도소득세 한제목만 갖고 연구하여 먹고사는 세무집단도 있으니 웃기는 나라죠. 왠만한 세무사 양도소득세 바뀌내역.년도.법. 잘모름니다. 하도 많이 뜯어고치고 소급입법하고 예전의 법 그대로 두고 또 미래애 대한 법 만들고 시차가 있다는 말이지요. 금융도 이랬다 저랬다.할줄알았으요 집많이 거래되니 세금많이 걷어 좋아다더니만 슬슬 겁이난모양이지요. 그러니 금융을 조이겠다는 발상을 벌써부터 하니 거래량이 조금
    산수유
    15.08.04 15:04 댓글 | 신고
  • 평생을 전세나 월세를 살던 서민들이 월세를 내느니 이자를 내고서 내 집 장만을 하는게낫겠다 생각하고 어렵사리 결정해서 대출 받아서 집을 사고 한숨 돌리기도 전에매월 원리금을 상환해야만 한다니 월급 받아서 사는 사람들 입장에선 청천벽력 같은정책이죠. 가계대출이 너무 많아 걱정이 되면 대출 갚을 사람 입장도 생각해서부실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대출금의 30%를 분할 상환한다든지 하면 될 것을왜 굳이 전액을 균등분할 상환해야 하는지. 월급 받아서 원금,이자 내느라 소비를줄이면 돈이 더 안돌죠~ 혈관이 막히듯 돈 줄이 막히는 거죠~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는 정책은 더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기쁜우리
    15.08.04 13:48 댓글 | 신고
  • 가계 부양은 커녕 집에 돈이 묶여 소비는 더 줄었다. 건설사 배부르게 하는 정책
    똔쭈
    15.08.04 09:44 댓글 | 신고
  • 빚지고 사는넘들 싹다 실패 눌렀다...ㅋㅋ
    missile
    15.08.04 01:37 댓글 | 신고
  • 빚갚아준다면 나라팔 놈들임.ㅋㅋ 빚많은 자들은 돈푼에 기술유출 가능성이 높기에 기업 및 정부에서 배제해야 되고 일반인들 역시 빚많은 자들관 거리를 둬라. 걔들 몰리기 시작하면 분명 너에게 큰 피해를 입힐것이다.
    니반쪽
    15.08.10 09:22 댓글 | 신고
  •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가계부채종합대책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비타민
    15.08.03 21:39 댓글 | 신고
  • ㅡ,,ㅡ 늦어도 한참 늦은 대책이다...베이비부머 세대들 은퇴시점에 목돈마련으로 집 내놓을거고..출산율은 자꾸만 떨어지고 경제는 저성장인 이 시점에? +___+ 아니? 뭔 놈의 부동산은 평당 1천만원대가 웬말이냐? ㅎㅎㅎㅎ...진작 허리띠는 졸라매야 했거늘 ㅎㅎㅎㅎ
    리키마틴
    15.08.03 20:40 댓글 | 신고
  • 투기세력엔 악법이지만 실수요 구매자엔 이자 덜 내니 좋은제도임집을 투기로 생각하는 사람들 이번에 다 쳐낼수있고 잘했어요
    주nhjs0905
    15.08.03 17:30 댓글 | 신고
  • 빚내서 집사라는게 부동산경기 활성화 대책이라구? 난 투기 조장을 뭔 국가적 차원에서 저렇게 할 수 있을까 했다.한심하다. 처음부터 예상된 시나리오 뭘 새삼스럽게
    jk
    15.08.03 11:57 댓글 | 신고
  • 대출 원금 전부에 대해 처음 부터 원리금 상환을 해야 한다는 발상 자체가 잘못 되었다. 현재도 국민은행 시세 기준으로 70% 이내에서만 대출을 해주는데, 원금의 20-30% 에 대해서만 원리금 분할 상환으로 해도 대출의 부실화를 오히려 방지할 수 있고, 국가경제의 침체도 막을 수 있다. 공무원들 복지부동하지 말고 정책 짤 때 좀 세심하게 하면 안되나?

    15.08.03 11:40 댓글 | 신고
  • 동감! 온탕다음 미지근 다름 냉탕도 아니고 바로 찬물 넣으면 놀래죠 어항속 물고기도 수돗물 받아서 하루 묵히고 절반 아래로 물 교환 해주는데...
    cecil
    16.01.08 05:26 댓글 | 신고
1 현재페이지2 3